메뉴 건너뛰기

Systems Microbial Ecology Laboratory : Research Area

Human Microbiome


표준 피부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확보를 통한 피부질환 마이크로바이옴 비교임상연구 환경 구축

Skin Microbiome Study Image 1

한국인을 대상으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샘플링과 분석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고도화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피부 부위의 정상 마이크로바이옴과 임상 정보를 기반으로 한 표준 참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아토피피부염, 여드름, 당뇨병성 족부궤양 등 주요 피부질환에 대한 비교 임상연구와 연령대별 피부 노화 연구를 수행합니다. Culturomics 기법으로 유용한 피부 상재균을 발굴하여 한국형 피부 미생물 뱅크의 기반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국가 차원의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통합 연구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Skin Microbiome Study Image 1

피부특성 및 유전체 데이터 정보구축

 

Microbiome Study Image

보건복지부 주관 '국가별 피부특성 정보은행' 사업의 일환으로, 전 세계 소비자의 피부 특성 및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본 연구실은 2022년부터 미생물 분석을 담당하여 국가, 피부 부위, 연령대별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축적된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피부 특성 및 유전체 정보와 연계 분석하여, 국가별·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개발을 위한 통합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mage Placeholder

멀티오믹스 기반 대사/신호전달 경로분석 도구와 고도화된 기능 분석 기술 개발

Skin Microbiome Study Image 2

중앙대학교와 한국한의학연구원이 협력하여 멀티오믹스 기반의 질병 예측 모델 및 신호전달 경로 분석 도구를 개발합니다. 특히 위암 수술 후 합병증과 C. difficile 감염 등 주요 질환군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정확도를 높입니다. 본 연구는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약 개발의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병 관리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Metabolic Pathway Analysis Tool

고형 장기 이식 후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및 예후 연관성 분석

Skin Microbiome Study Image 3

장기 이식 수여자의 이식 전후 대변 검체를 수집하고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장기 이식 전후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가 수술 후 합병증 및 예후와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합니다. 더 나아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 이식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여 이식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dditional Logo

위로